본문 바로가기
활력 재부팅

50대 대상포진전염성 대상포진 증상 치료방법

by 골든데일리1 2025. 4. 28.

대상포진은 면역력이 떨어지는 50대 이후에 특히 조심해야 할 질환입니다. 한번 걸리면 극심한 통증과 신경 손상까지 남을 수 있어 초기에 잘 대응하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그리고 대상포진전염성이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고요. 오늘은 대상포진 전염성이 있는지 그리고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볼게요.

 

 

1. 대상포진전염성 있을까?

대상포진 전염성 관련 이미지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가 원인인데요. 어릴 때 수두를 앓고 나면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신경절에 숨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질 때 다시 활성화되며 대상포진으로 나타납니다. 

 

1-1 전염성은 있을까?

  • 대상포진은 수두를 앓은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아요.
  • 하지만 수두를 앓은 적 없는 사람, 특히 어린아이, 임산부에게는 수두의 형태로 전염될 수 있어요.
  • 대상포진 수포(물집)가 터진 상태에서 직접 접촉하면 전염 가능성이 있어요.
  • 수포가 마를 때까지는 가급적 격리 및 피부 보호 필요해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50대 이상 환자가 전체 대상포진 환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면역억제 치료(항암, 장기이식, 당뇨, 고령 등)를 받는 경우
대상포진 발생률과 후유증 위험이 2~3배 이상 증가 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2. 대상포진 초기증상

대상포진 초기증상 감기 관련 이미지

 

대상포진은 초기에 감기처럼 시작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 신체 부위가 아프고 예민해지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이죠.

 

2-1 대표적인 초기증상

 

  • 한쪽 몸 부위(옆구리, 얼굴, 허리 등)에 찌릿한 통증
  • 따끔거림, 가려움, 화끈거림이 지속됨
  • 2~3일 후 물집(수포)이 줄지어 생김
  • 감기처럼 미열, 몸살, 피로감 동반
  • 통증은 신경을 따라 띠 형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수포 발생 전에도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많음 → 무증상 감기 같아 보이지만 위에 설명한 증상 동반된다면 바로 병원 내원 추천

 

 

 

3. 대상포진 치료방법

 

대상포진은 단순한 피부병이 아닙니다. 바이러스가 신경을 따라 침범하기 때문에 치료가 늦으면 통증이 오래가고 휴유증도 오래가죠. 치료의 핵심은 빠른 항바이러스제 복용 + 통증 조절 + 수포 감염 관리입니다.
아래에서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3-1 항바이러스제 치료 (치료의 가장 핵심!)

▶ 언제 시작해야 하나요?

  • 수포가 생기기 전이라도 통증이나 찌릿한 증상이 있으면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해야 효과가 큽니다.
  • 통상적으로는 발병 후 72시간 이내 복용 시작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어떤 약을 사용하나요?

약 이름 특징
아시클로버 (Acyclovir) 아시클로버정, 200mg 하루 5회 복용, 가장 오래된 항바이러스제, 효과 입증됨
발라시클로버 (Valacyclovir) 발라렉스정, 1000mg 하루 3회 복용, 흡수율이 높음
팜시클로버 (Famciclovir) 팜비어정, 250mg 하루 3회 복용, 통증 지속 시간 단축에 효과적

 

 

복용 기간은 보통 7일 정도이며, 심한 경우 의사의 판단에 따라 연장할 수 있어요.

 

효과

 

  • 바이러스 증식 억제
  • 수포 진행 억제
  • 신경 손상 및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 예방에 가장 중요

 

3-2 통증 조절 치료

대상포진 통증은 바늘로 찌르는 듯한 신경통부터 화끈거림, 저림, 욱신거림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사용되는 약물

약 종류 역할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등) 기본 통증 완화
신경통 약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등) 신경성 통증에 특화
삼환계 항우울제 (아미트립틸린 등) 만성 신경통 예방 및 수면 보조
스테로이드 염증 감소 + 신경부종 완화 (경우에 따라 사용)

 

통증이 심하면 신경차단술(신경주사 치료)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3 수포 및 피부병변 관리

수포가 생기면 세균 감염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청결과 위생 관리가 매우 중요해요.

 

실생활 관리 팁

  • 수포 부위는 물에 닿지 않도록 가볍게 덮어두기
  • 절대 손으로 터뜨리지 않기
  • 소독된 거즈로 가볍게 덮어주고, 통풍 유지
  • 병원에서 처방한 외용 연고(항생제, 진정제) 바르기

 

3-4 대상포진 예방접종

한 번 대상포진을 앓은 후에도 재발 위험은 남아 있어요. 특히 면역력이 약한 50대 이상은 예방접종을 권장합니다.

 

대상포진 백신 종류

백신 이름 특징
스카이조스터(Sky Zoster) 대상포진 생바이러스 백신, 1회 피하주사, 만 50세 이상 성인에서의 대상포진 예방
싱그릭스 (Shingrix) 불활성백신, 2회 접종, 면역저하자에게도 사용 가능
  • 50세 이상 성인 누구나 예방접종 가능
  • 예방률은 싱그릭스 기준으로 90% 이상
  • 대상포진을 이미 앓은 경우에도 6~12개월 뒤 접종 가능

참고로 2025년 전국 15개 광역시도에서 65세 이상 대상포진 무료 접종 사업 확대 운영 중이예요. 가까운 보건소에서 꼭 확인해 보세요.

 

 

4. 대상포진 회복에 좋은 음식

대상포진 치료 중이나 회복기에는 면역력 회복과 신경 회복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음식 이유
단백질 식품(달걀, 닭가슴살, 두부) 조직 회복에 필수
비타민C 풍부한 과일(키위, 딸기, 오렌지) 면역력 강화
마늘, 생강 항염 작용, 면역 활성화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 체내 염증 완화에 도움
견과류, 연어 오메가-3 지방산 → 신경 보호
따뜻한 국물 음식 체온 유지와 에너지 보충

 

피해야 할 음식: 인스턴트, 튀김류, 단 음식, 카페인 등 → 염증 악화 가능

 

5. 마무리하며

활력과 건강을 꽃으로 표현한 이미지

 

대상포진은 몸이 보내는 경고 신호입니다. 특히 50대 이후, 지나친 피로와 스트레스는 발병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몸과 마음을 편안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초기에 이상 신호가 느껴지거나 오늘 설명드린 증상이 조금이라도 나타난다면 바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을 적극 권장해요. 

 

 

 

반응형